의학용어 | laryngoscopy |
뜻 | 후두내시경술(喉頭內視鏡術) |
어원 | 근대 라틴어 larynx(후두) + 고대 그리스어 σκοπέω (skopéō, 보기) |
영어발음기호 | ˌlærɪŋˈɡɒskəpi |
한글발음 | 래링가스커피 |
수술방법 | 목구멍의 일부인 후두(larynx)에 대한 내시경술. 성대(vocal folds)나 성문(glottis)을 볼 수 있다. 전신마취 또는 CPR 중에 기관삽관(tracheal intubation)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상부 기관기관지나무(upper tracheobronchial tree)에 대한 수술 과정의 일부로 시행된다. 직접후두내시경술(direct laryngoscopy)은 호흡곤란을 처리하기 위한 CPR 과정에서 수행되며, 전신마취 시 마취과 의사가 많이 선택하는 시술방법이다. 그러나 극도로 불편하여 일반적으로 의식이 있거나 완전한 구역반사(gag reflex)가 있는 환자에게는 시행되지 않는다. 간접후두내시경술(indirect laryngoscopy)은 거울 외에 다른 방법으로 환자의 성대를 시각화할 때 수행하는 방법이다. 광섬유기관지내시경(fiberoptic bronchoscope), 영상 후두내시경(video laryngoscope), 광섬유탐침(fiberoptic stylet), 광학적으로 강화된 거울이나 프리즘을 이용한 후두경을 삽관할 때 사용된다. |
후유증, 부작용 | 인후통, 인두와 후두 내부 연부조직의 손상, 치아 손상, 혀에 대한 압박으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심장 부정맥 |
분야 | 의학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