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watershed infarction 뜻?
우리말(한자) : 경계구역경색증(境界區域梗塞症)
경계구역경색증이란?
앞, 중간, 뒤의 세 대뇌동맥(cerebral artery)이 담당하는 구역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대뇌허혈(cerebral ischemia).
watershed infarction 어원
[독일어 Wasser(물) + scheiden(나누다)] + 라틴어 īnfartus(채워넣다)
watershed infarction 발음
영어 발음기호
ˈwɔtɚʃɛd ɪn‘fɑ:rkʃn
한글발음
워터쉐드 인팍션
해설
앞, 중간, 뒤 대뇌동맥(cerebral artery)의 담당구역 사이에서 발생한 대뇌허혈(cerebral ischemia). 농업관개체계에서 가장 마지막에 물을 공급받는 밭에 가장 물이 적게 가는 것에 비유하여 경계구역 경색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뇌로 가는 혈압이 약해지면 세 동맥이 각각 관장하는 범위의 가장자리부터 허혈에 빠진다. 경계구역경색은 허혈뇌졸중(ischemic stroke)의 10%에 해당한다. 미국뇌졸중협회가 밀고 있는 초기증상은 FAST(F = Facial weakness 안면쇠약 (얼굴이 아래로 처지다), A = Arm weakness 팔쇠약 (힘을 주지 못하고 흔들리다), S = Speech difficulty 언어장애 (발음이 불분명하다), T = Time to act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 시간 (즉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치료가 빠를수록 뇌기능손상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이다. 구체적인 증상은 영향을 받는 뇌의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 손상된 뇌의 반대편 신체에 감각저하나 과반사 또는 무감각, 얼굴 및 사지의 약화 등이 나타난다. 울혈성 심부전, 죽상경화증, 경동맥협착, 저혈압처럼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다. CT 또는 MRI로 진단한다. 경동맥협착을 해소하여 뇌혈류를 정상화하는 것이 치료방법이다. 경동맥내막절제(carotid endarterectomy)나 경동맥혈관성형(carotid angioplasty)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뇌졸중 재활치료와 예방을 위해 지방이 적고 채소가 풍부한 식사법에 대한 교육 및 항응고제 사용 등을 고려한다. 동의어 경계구역뇌졸중(watershed stroke).
분야, 진료과
신경과, 신경외과
의학용어 angioplasty 혈관성형 수술방법, 혈관성형술 후유증
의학용어 angioplasty 뜻 혈관성형(血管成形) 어원 [고대 그리스어 ἀγγεῖον (angeîon, 그릇, 항아리) = 혈관] + [고대 그리스어 πλαστός (plastós, 틀로 만든) = -plasty(성형)] = 혈관 성형 영어..
medicalterms.tistory.com
'의학용어 사전 > 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weakness 쇠약, 허약 (0) | 2021.04.14 |
---|---|
의학용어 W chromosome W염색체 (ZZ-ZW) (0) | 2021.04.14 |
의학용어 water intoxication = water poisoning 물중독 (0) | 2021.04.13 |
의학용어 WFS = Waterhouse–Friderichsen syndrome 워터하우스-프리데릭센증후군 (0) | 2021.04.13 |
의학용어 wasting syndrome 뜻 소모증후군 = cachexia 뜻 종말증 (0) | 2021.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