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용어 사전/P

의학용어 PVS = persistent vegetative state 지속식물인간상태

by jtgo 2021. 7. 26.

의학용어 persistent vegetative state 뜻?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제6판. 우리말(한자) : 지속식물(인간)상태

지속식물인간상태란?

혼수 상태에 빠진 환자가 깨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사소통을 지속하거나 자극에 반응할 수 없는 상태. 눈을 뜰 수 있지만 뇌손상으로 인해 환자는 움직일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이 몇 주 안에 자발적으로 회복된다. 뇌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나이에 따라 회복 가능성이 달라진다. 젊을수록 회복 가능성이 크다. 동의어 코마후 무반응(post-coma unresponsiveness = PCU)

persistent vegetative state 어원

라틴어 persistō(불변으로) + 중세 라틴어 vegetare(살아있는, 생기있는) + 라틴어 stare(서 있다)

persistent vegetative state 발음

영어 발음기호 : pɚˈsɪstənt ˈvɛdʒəteɪtɪv steɪt

한글발음 : 펄시스턴트 베저테이티브 스테이트

혼수상태와 지속 식물인간상태의 차이

혼수상태는 인식(awareness)과 각성(wakefulness)이 모두 결여된 상태이고, 지속식물인간상태는 각성은 되었으나 인식이 결여된 상태이다. 혼수상태인 사람은 스스로 삼키지 못하지만 지속식물상태는 먹여주면 삼킬 수 있다.

영구식물인간상태와 지속 식물인간상태의 차이

부분적으로 깨어있는 식물인간 상태에서 4주가 지나면 지속식물인간상태로 분류된다. 비외상성 뇌손상 후 몇 달(미국은 3개월, 영국은 6개월)이 지났거나 외상성 뇌손상 후 1년이 지나면 영구식물인간상태(permanent vegetative state)로 분류된다. 나라마다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이나 조건이 다르다.

지속식물인간상태 증상

증상 외부자극에 대해 의식상태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뇌간 기능(호흡, 혈액순환 등)은 유지되지만 대뇌 피질 기능(의사소통, 사고, 의도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눈뜨기, 간헐적인 발성, 정상적인 수면양상 유지, 자발적이고 목적이 없는 움직임 같은 상부 뇌간기능은 종종 유지된다. 눈을 뜨고 있더라도 초점이 고정되거나,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거나, 고정되지 않고 계속 움직일 수 있다. 이 갈기, 삼키기, 미소 짓기, 눈물 흘리기, 투덜거리기, 신음 소리 내기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비위관 외의 생명 유지 장치를 거의 착용하지 않는다.

지속식물인간상태 치료

정확한 치료법은 없으나 회복을 자극하는 몇 가지 방법이 시도된다. 항우울제(antidepressant), 각성제의 일종인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도파민성 약물, 암페타민 등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감각자극, 음악치료, 촉각자극, 피질자극 등이 시도된다.

의학용어 PVS = persistent vegetative state 지속식물인간상태data-ke-mobilestyle=

 

우리말 의학용어 사전 - 뇌신경 12쌍 암기법

[목차] 3. 말초신경계 (1) 말초신경계 말초신경계는 뇌신경과 척수신경으로 구성됩니다. 말초신경계는 인체 내부 또는 외부의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중추신경계로부터 내려온 명령을 실

medicalterms.tistory.com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