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용어 사전/V

의학용어 vestige, vestigial organ 뜻 흔적기관의 예

by jtgo 2021. 8. 16.

1. 의학용어 vestige 뜻?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제6판. 우리말(한자) : 1. 흔적(痕迹) 2. 흔적기관(痕迹器官)

2. 흔적기관이란?

배아(embryo)나 종(species)의 이전 단계에서는 필수적이었지만 불완전하게 발달하여 비교적 쓸 모 없게 된 기관이나 구조. 정상적인 진화과정의 일부이다.

3. vestige 어원

라틴어 vestīgium(발자국)

4. vestige 발음

영어 발음기호 : ˈvestɪdʒ

한글발음 : 베스티지

5. vestigial organ 뜻

vestige의 형용사 + organ(기관) = 흔적기관. 발음 veˈstɪdʒiəl ˈɔ: rɡən 베스트지얼 올건. 기능을 갖지 않고 구조적인 흔적으로만 남아있는 기관.

6. 흔적기관의 예

귀의 근육, 사랑니, 막창자꼬리, 반월주름, 꼬리뼈
인간에게 남은 흔적기관의 종

(1) 인간

① 귀의 근육

동물들은 잠재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귀를 움직여서 더 잘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대부분의 원숭이의 귀는 인간보다 훨씬 더 발달한 근육을 가지고 있으나, 인간·오랑우탄·침팬지 같은 영장류는 귀의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다. 이는 수평면에서 고개를 돌리기 쉬운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굳이 귀를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에 따라서는 귀를 조금 움직일 수 있다.

② 사랑니(wisdom teeth)

사랑니는 셋째큰어금니(제삼대구치, third molar)이며 인간 조상이 식물조직을 분쇄하는 데 사용했다. 인간 조상은 더 많은 치아와 더 큰 턱을 가지고 있었고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셀룰로스를 소화하기 위해 분쇄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③ 충수(막창자꼬리, appendix)

막창자(cecum)에는 셀룰로스가 풍부한 식물성 물질을 가수분해하는 데 필요한 장내세균총이 존재하며 초식동물의 소화를 돕는다. 또한 이 세균총은 설사, 중독, 항생제 치료 후에 장내세균총을 다시 건강하게 만드는 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막창자꼬리의 정확한 역할은 해명되지 않았다.

④ 꼬리뼈(coccyx)

모든 포유류는 발달과정에서 어느 시점에 꼬리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인간 배아발생의 14~22 단계에서 4주간 존재한다. 이 꼬리는 31~35일 된 인간 배아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꼬리뼈는 신체의 균형과 이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간의 꼬리뼈는 원래 기능을 잃었지만 근육이나 인대의 부착점 같은 역할을 한다. 

반달주름(semilunar fold)

새, 파충류, 양서류에 있는 세번째 눈꺼풀인 순막(nictating membrane)이 퇴화되어 인간에서는 눈의 구석, 눈물관 바로 옆에서만 조금 남아있다. 세번째 눈꺼풀은 투명하여 눈을 뜨고 있는 동안 눈을 촉촉하게 해준다. 사람의 눈꺼풀과는 달리 세로로 열린다.

(2) 동물

타조나 에뮤의 날개, 도룡뇽의 눈, 보아뱀과 비단뱀의 골반뼈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