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 사전/Z144 참 쉬운 의학용어사전 (A~K) (L~Z) 통합검색 의학용어 zero order kinetics 뜻 영차 역동학 [목차] 의학용어 zero order kinetics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영차 역동학(零次 力動學) 영차 역동학이란? 화학에서 반응 속도가 기질의 농도와 무관한 상태. 따라서 기질의 농도를 변경해도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농도는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한다. 이는 동시에 반응할 수 있는 분자의 수에 제한이 있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효소촉매반응의 대다수는 반응물질(reactant)의 농도가 반응속도를 조절하는 효소의 농도보다 훨씬 커서 효소가 포화된 상태가 된다. 즉 효소가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양은 한정되어 있는데 처리해야 할 반응물질의 양이 효소에 비해 엄청나게 많다면 반응물질의 양은 효소의 반응속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다. 영차반응(zero order reac.. 2021. 4. 23. 의학용어 zero dose 뜻 제로 도스 [목차] 의학용어 zero dose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제로 도스 제로 도스란? 1. 약학에서 연속 접종의 일부에 포함되지 않는 백신 접종. 2. 생화학에서 첨가된 리간드가 없는 경우. zero dose 발음 영어 발음기호 'zɪroʊ doʊs 한글발음 지로우 도우스 의학용어 약어모음 (1) 전문의 진료과목 26개 [목차] 의료법에 규정된 전문과목 병원의 각 진료과목을 나타내는 의학용어, 약어, 발음, 뜻에 관한 글입니다. 병원 진료과목은 병원마다 세부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의료법 시행령 전 medicalterms.tistory.com 2021. 4. 23. 의학용어 zero balance 뜻 제로 밸런스 [목차] 의학용어 zero balance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제로 밸런스 제로 밸런스란? I/O를 측정할 때 인체에서 배출된 물 또는 전해액(electrolyte)의 양이 섭취한 양과 정확하게 평형(equilibrium)을 이룬 상태. zero fluid balance와 같다. zero balance 발음 영어 발음기호 'zɪroʊ 'bæləns 한글발음 지로우 밸런스 스트레스 생리학 (4)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 증상 [목차] 7. 만성 스트레스 증상 스트레스에서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시상하부의 신호를 받은 연수의 청반과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입니다. 자율신경계는 척추동물의 말초신경계 medicalterms.tistory.com 2021. 4. 22. 의학용어 zero 뜻 영, 영점 [목차] 의학용어 zero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영(零), 영점(零點) 영, 영점점이란? 1. 아무 것도 아닌 것, 영(零) 2. 측정이 시작되는 눈금상의 지점. 영점(零點) 3. 켈빈 눈금(Kelvin scale)의 절대 영도(absolute zero, 0° K). -273.15°C 또는 -459.67°F에 해당한다. zero 어원 산스크리트어 शून्य (śūnya, 텅빈, 아무 것도 아닌 것)을 차용한 아라비아어 صِفْر(ṣifr, 아무 것도 아닌 것, 하찮은 사람)에서 나온 중세 라틴어 zephirum에서 나온 이탈리아어 zero에서 나온 프랑스어 zéro에서 나온 영어 zero. zero 발음 영어 발음기호 'zi:roʊ 한글발음 지로우 콩글리쉬 제로 스트레스 생리학 (4) 교감신경.. 2021. 4. 22. 의학용어 성분명 zearanol 제라놀 뜻 = 상품명 Frideron 프리데론 목차 의학용어 zearanol 뜻? 성분명 zearanol(제라놀) 상품명 Frideron(프리데론), Ralabol(랄라볼) 제라놀이란? 약리작용 합성 비스테로이드 에스트로젠. 제라놀 치료를 받은 소의 고기는 일부 소년 소녀들의 조숙한 사춘기와 관련이 있다. 유방암 세포를 증식시킬 수 있다. 비슷한 화합물인 지랄레논(zearalenone)보다 3~4배 강력하다. 미국에서는 가축의 성장촉진제로, 캐나다에서는 소의 성장촉진제로 사용되나 유럽 연합에서는 1988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알파 지랄라논(α-zearalanol)이라고도 한다. 스트레스 생리학 (4)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 증상 [목차] 7. 만성 스트레스 증상 스트레스에서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은 시상하부의 신호를 받은 연수의 청.. 2021. 4. 22. 의학용어 zeolite 뜻 제올라이트, 불석 [목차] 의학용어 zeolite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제올라이트, 불석(沸石) 제올라이트란? 알루미늄을 함유한 다공성의 광물. 흡착제와 촉매제로 사용된다. zeolite 어원 zeo + lite = 고대 그리스어 ζέω (zéō, “”) + λίθος (líthos, “stone”). = to boil, to bubble(끓다, 거품이 생기다) + stone(돌) = 끓는 돌 zeolite 발음 영어 발음기호 zí:əlàit 한글발음 지얼라이트 콩글리쉬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해설 나트륨, 알루미늄을 함유한 수화 규산염. 스웨덴 광물학자 악셀 프레드릭 크론스테드(Axel Fredrik Cronstedt, 1722~1765)가 1751년에 처음 만든 용어이다. 크론스테드는 제올라이트의 일종인 속비.. 2021. 4. 22. 의학용어 Zenker's diverticulum 뜻 젠커 곁주머니, 젠커 게실 [목차] 의학용어 Zenker's diverticulum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젠커 곁주머니, 젠커 게실(憩室) 젠커 곁주머니, 젠커 게실이란? 식도의 벽 일부가 튀어나와 주머니를 형성한 것. 음식이 쉽게 들어가서 문제를 일으킨킨다. Zenker's diverticulum 어원 독일 병리학자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폰 젠커(Friedrich Albert von Zenker, 1825~1898)의 이름에서 따옴. Zenker's diverticulum 발음 영어 발음기호 ~ dàivərtíkjuləm 한글발음 ~ 다이버티큘럼 젠커 곁주머니, 젠커 게실 해설 인두에서 식도로 이어지는 중간에 근육으로 완전히 덮히지 않은 점막 부위에서 발생하는 곁주머니(게실). 반지인두(윤상인두, cricopharyng.. 2021. 4. 21. 의학용어 Zellweger syndrome 뜻 젤웨거 증후군 [목차] 의학용어 Zellweger syndrome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젤웨거 증후군(症候群) 젤웨거 증후군이란? 지방산의 대사와 관련이 있는 세포의 과산화소체가 부족하거나 결핍되는 보통염색체 열성 질환. 혈장에 특정 지방산의 농도가 높아져 조직 곳곳에 쌓여 문제를 일으킨다. Zellweger syndrome 어원 스위스계 미국 소아과 의사 한스 젤웨거(Hans Zellweger, 1909–1990)의 이름에서 따옴. 젤웨거 증후군 해설 세포의 과산화소체(peroxisome)가 부족하거나 결핍되는 선천장애. 보통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젤웨거 범위 장애(ZSD, Zellweger spectrum disorders)라고 불리는 과산화소체 생합성 장애(PBD, peroxisome biogenesi.. 2021. 4. 21. 의학용어 ZEEP = zero end expiratory pressure 뜻 날숨끝영점압, 호기말영점압 [목차] 의학용어 ZEEP = zero end expiratory pressure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날숨끝영점압, 호기말영점압(呼氣末零點壓) 날숨끝영점압, 호기말영점압이란? 정상인의 호흡에서 날숨끝에 공기의 흐름이 없어지는 지점의 기도의 압력. zero end expiratory pressure 발음 영어 발음기호 'zɪroʊ end ikspáiərətɔ́:ri 'preʃə(r) 한글발음 지로우 엔드 익스파이어러토리 프레셔 콩글리쉬 제로 엔드 엑스피러토리 프레셔 날숨끝영점압, 호기말영점압 해설 날숨끝에 대기압과 같아지는 기도의 압력. 정상인의 호흡에서 날숨의 마지막에 더 내쉴 숨이 없어서 공기의 흐름이 없어지는 지점의 기도의 압력을 말한다.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 2021. 4. 21. 의학용어 Zeeman effect 뜻 제만 효과 [목차] 의학용어 Zeeman effect 뜻? 우리말 의학용어(한자) : 제만 효과(效果) 제만 효과란? 어떤 물질에 강한 자기장을 걸고 분광기로 관찰했을 때 빛의 스펙트럼이 3개의 성분으로 갈라지는 현상. Zeeman effect 어원 네덜란드 물리학자 피터르 제만(Pieter Zeeman, 1865~1943)의 이름에서 따옴. 해설 피터르 제만(Pieter Zeeman)이 1897년에 발견한 현상. 어떤 물질에 강한 자기장을 걸고 분광기로 관찰했을 때 빛의 스펙트럼이 3개의 성분으로 갈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갈라진 성분들간에는 파장의 차이가 있는데 이를 제만 분열(Zeeman splitting)이라고 한다. 제만 분열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자기장을 걸었을 때 물질속의 전자들은 자.. 2021. 4. 2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